본문 바로가기
항공

선회 접근 절차 - Circling Approach Procedure

by 항공꿀팁저장소장 2022. 7. 19.
반응형

공부를 하다가 선회 접근 절차에 대한 문제를 풀게 되었고 선회 접근 절차를 정리해서 포스팅하려고 이 글을 씁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ircling-only 접근 방식은 특정 활주로를 위해 설계되지 않은 접근 방식입니다.

시각적으로 공항 상공에서 활주로 끝단을 기준으로 반원의 반경이 보여야 합니다.
활주로가 여러 개의 복합 활주로일 경우 각 활주로 끝단에서 반원을 그린 전체 원의 형태에서 선회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선회 전용 접근은 최종 접근 코스가 활주로 연장선 30° 이내에 있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선회 전용 접근 플레이트에는 항법 보조 장치(NAVAID)와 문자(예: VOR-A)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둘 이상의 선회 전용 접근 방식이 있는 공항은 문자 표시를 나열시킵니다. (예: VOR-A, VOR-B 등).
기본적으로 circling-only 접근 방식은 다른 모든 접근 방식과 유사하고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Published Circling Minimums

계기 접근 플레이트는 기동이 허용되는 선회 최솟값을 게시합니다.
선회 최솟값은 직선 최솟값과 함께 플레이트 하단에 게시됩니다.
선회가 허용되는 직선 접근의 경우 직선 및 선회 최솟값이 게시됩니다.
선회가 허용되는 ILS의 경우 선회 최솟값이 게시되지만, 실패 접근 지점(MAP)은 glide slope가 선회 최솟값을 만나는 위치가 아니라 게시된 실패 접근 지점(MAP)입니다.

선회 접근 최솟값
선회 기동을 하는 조종사는 직선 접근 혹은 선회 접근에 상관없이 선회 기동 최솟값을 적용해야 합니다.
선회 기동 최솟값은 다른 접근 최솟값보다 높습니다. 왜냐하면 조종사가 시계 접근 구간 수행을 하기 때문입니다.
게시된 최솟값은 적절한 거리 이내에서 기동 할 시, 300 feet의 장애물 허가를 제공합니다.
선회 기동을 하려는 조종사는 직선 접근 최소 고도가 아닌 선회 접근 최소 고도까지 하강해야 합니다. (직선 접근 최소 고도보다 선회 접근 최소 고도가 높습니다)
만약 선회 접근 최소 고도가 게시되지 않았을 경우, 선회 접근 착륙을 시도하면 안 됩니다. 

그러나 항공 관제사에게 승인받을 경우, 시계 비행 규정(운고 1000 feet, 시정 3마일)을 지키면서 가능합니다.
의도한 활주로로 정상 하강 기동을 통해 착륙을 할 수 있는 위치에 다다르기 전까지 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는 선회 접근 최솟값 이상으로 비행을 유지해야 합니다.
Downwind 구간에서 abeam 혹은 180도 안쪽의 선회 반경으로 비행을 유지하는 것이 선회 접근 시 유리합니다.

선회 기동
선회 기동은 계기 접근의 시계 기동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 카테고리에 따라, 특정 활주로에 대한 선회 반경이 다르게 선정됩니다.
선회 기동은 선회 접근을 완료하기 위한 후속 조치지, 계기 접근의 일부가 아닙니다.
선회 접근은 특히 카테고리(CAT) C 및 CAT D 터빈 동력 운송 카테고리 항공기의 조종사가 수행하는 가장 어려운 비행 기동 중 하나입니다.
선회 기동은 낮과 밤 상관없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수행되고 종종 시야 문제, 고도 인식 및 착륙 활주로 대한 영향을 주는 강수 현상이 존재하여 위험합니다.
조종사는 착륙 활주로에 대한 자신의 역량과 항공기의 착륙 조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동을 진행할지, 실패 접근 절차를 따를지 판단해야 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정리

날씨 또는 장비 제한으로 인해 조종사에게 추가 계기 접근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선회 전용 접근 방식을 설정합니다.
Circling 접근 방식은 Circling 최솟값(minimum)만 포함하는 다른 기기 접근 방식과 유사하게 표시됩니다.
계기 접근 플레이트(Instrument Approach Plate)는 기동이 허용되는 선회 최솟값을 게시합니다.
결과적으로 최소 선회 접근 방식에는 고유한 고려 사항이 필요합니다.
직선 비행이든 선회 전용 접근이든 상관없이 선회 기동은 항상 필요합니다.
선회 접근은 상황 인식이 많이 필요하며 여러 이유로 인해 위험한 기동입니다.
상대적으로 선회 접근 시 고도는 낮고 속도는 느리며 날씨도 나쁠 수 있습니다.
날씨 최솟값에 따라 활주로 방향을 결정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선회 접근 허가와 함께 조종사는 착륙을 위한 선회 접근/기동을 실행합니다.
선회 접근 방식의 경우 실패 접근 절차가 특별합니다.

반응형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 연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2022.07.23
ASR/감시 접근 방식에 대해서..!  (0) 2022.07.22
V1, Vr, V2 이륙 속도 정리  (0) 2022.07.16
Descend Via 에 관한 질문과 대답  (0) 2022.07.16
DESCEND VIA 란?  (0) 2022.07.14

댓글